포트폴리오 만들기(2025/04/29 ~ 2025/06/20)
요구사항 관련 문서에는 아래 사항들이 포함되어야 한다.
프로젝트 기본 정보 (예: 프로젝트 명, 프로젝트 코드, 작성자, 최종 작성일 등)
요구사항 ID, 요구사항 명, 요구사항 상세설명, 요구사항 유형, 테스트 가능성, 중요도, 난이도, 요구사항 출처 및 관련부서 등
밴드부
- DB에 연결이 필요해보이는 정보는 ``로 표시합니다.
+)
(NULL)
이 포함된 부분은 필수 입력이 아닙니다.
- API 개발이 필요한 부분은 볼드체로 표시합니다.
- 개발 우선순위에 따라 RED, YELLOW, GREEN, PURPLE, BLUE로 요구사항 시작줄에 라벨처럼 표시합니다.
- RED : 매우 높음. 프로젝트 제작의 주요 목표 및 1차 배포 이전에 완료할 요구사항인 경우
- YELLOW : 높음. 프로젝트 제작의 하위 목표 및 1차 배포 이전에 완료할 요구사항인 경우
- GREEN : 보통. 프로젝트 제작의 하위 목표 및 1차 배포 이후에 완료할 요구사항인 경우
- PURPLE : 낮음. 구현하면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우
→ 구현 난이도: 볼륨 낮아서 프로젝트 기간 안에 충분히 구현가능한 것들
- BLUE : 낮음. 구현하면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우
→ 구현 난이도: 볼륨 커서 시간남았을 때 구현해보면 좋을 것들
- 시스템 이용자는 다음과 같이 구분합니다
- 관리자 ⇒ 시스템 관리자
- 사용자 ⇒ 시스템을 이용하는 기본적인 default user
- 대표자 ⇒ 관리자의 승인을 받은 팀 생성 및 관리가 가능한 user
- 부원 ⇒ 동아리에 소속되어 동아리 내 기능을 사용하는 user
- 팀원 ⇒ 팀에 소속되어 있으며 팀 내 기능을 이용하는 user
+) 대표자 > 부원 > 팀원
++) 각각의 role은 자신보다 아래에 위치한 role의 기능 모두 이용 가능
+++) 팀원은 부원 중 팀 내 기능을 이용하는 user로 팀 내 기능 이용 구분을 위해 부원과 구분
- 시스템 ⇒ 별다른 사용자 없이 시스템 내에서 자동으로 로직을 수행하는 경우
- 갈색 배경은 카카오 API 메시지시스템 이용 부분입니다.
요구사항 명세
로그인
- RED 사용자는 카카오 계정을 통해 로그인을 할 수 있다.
- RED 사용자는 카카오 계정 로그인 이력이 없을 시 회원가입을 할 수 있다.
- YELLOW 시스템은 인증토큰이 만료되었을경우 refreshtoken을 통해 사용자를 재로그인시킨다.
- YELLOW 사용자는 회원가입 이후 자신의
포지션(ex. 베이스, 보컬...)
을 입력하여 저장할 수 있다.
- YELLOW 사용자는 회원가입 이후 자신의
소속대학
을 입력하여 저장할 수 있다.
- RED 사용자는 로그아웃을 할 수 있다.
- GREEN 사용자는 회원탈퇴를 할 수 있다.
개인 프로필
- YELLOW 사용자는 자신의 프로필(
카카오로그인정보
, 포지션
, 소속대학
, 닉네임
)을 확인할 수 있다.
- GREEN 사용자는 자신의
닉네임
을 수정할 수 있다.